블루문이나 스트로베리문, 그리고 핑크문등의 익숙한 단어를 별칭으로 가지고 있는 보름달은 흔히 달의 색과 관련한 이름일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이 이름들은 달의 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핑크문도 마찬가지입니다.
1, 4월달의 보름달은 왜 핑크문일까?
안타깝게도 4월달의 보름달은 핑크색의 달은 아닙니다. 하지만 핑크문이라고 불리는 데에는 그럴만한 근거가 있습니다. 달의 별칭이 대부분 기원한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에게 4월의 보름달이 뜨는 시즌은 해당지역에서 Phlox subulata가 개화하기 시작하는 시즌이었습니다. Phlox subulata는 우리나라말로는 꽃잔디를 이르는 말로 이 꽃잔디는 봄철 만나는 꽃 중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진한 색을 보여주는 꽃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도 봄이 찾아오면 종종 들판에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꽃잔디를 보게 되는데 그 색이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습니다. 이 꽃이 피는 시즌이 바로 4월의 보름달이 피는 그 시즌과 일치했기 때문에 핑크문이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어쩌면 보름달의 빛을 받은 꽃잔디의 색이 더 아름답고 인상적이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4월의 보름달은 핑크문 이외에도 Breaking Ice Moon ,Breaking Ice Moon, Budding Moon, Awakening Moon, Egg Moon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가끔 4월의 보름달이 파스칼의 달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파스칼의 달에 대한 설명은 4월의 보름달은 웜문의 설명을 참고해주세요.
2023.06.20 - [분류 전체 보기] - 3월의 보름달이 뜬다면 웜문(worm moon)이라고 불러주세요.
2. 우리는 왜 핑크문은 핑크색일 거라고 생각할까?
우리는 가끔 꼭 4월의 보름달이 아닐지라도 핑크색이 감도는 보름달을 보게 될 때가 있습니다. 핑크색으로 빛나는 달을 보게 되는 때는 보통 월식이 일어나는 날인 경우일 때가 많지만 꼭 월식이 아니라도 대기조건에 따라 달의 색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 경우는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이런 경우에도 핑크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됩니다. 달의 색이 핑크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노을이나 일출이 붉게 보이는 현상인 레일리 현상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핑크색으로 보이는 달을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핑크문이라는 이름을 듣게 되면 자연스럽게 달의 색이 핑크색일 것이라 추측하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아주 우연한 조건의 매칭으로 4월의 보름달이 핑크색의 핑크문이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4월의 보름달이 핑크색 달은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해야겠습니다.
2024년 4월의 핑크문은 4월 24일에 만날 수 있습니다.
2023.05.27 - [분류 전체보기] -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 하늘이 파란 이유, 노을이 붉은 이유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 하늘이 파란 이유, 노을이 붉은 이유
해가 위치에 따라 우리는 아름답고 다채로운 색의 하늘을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혹시 아시나요? 이렇게 하늘의 색이 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 또한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이
talkany.tistory.com
2023.05.22 - [분류 전체보기] - 붉게 빛나는 블러드문은 왜 생기는걸까?
붉게 빛나는 블러드문은 왜 생기는걸까?
블루문이 실제 달의 색을 지칭하는 의미가 아닌 것과는 다르게 블러드문은 실제 우리 눈에 보이는 달의 색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블러드문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오늘은 블러드문이 관찰되
talkany.tistory.com
2023.05.21 - [분류 전체보기] - 블루문은 푸른 달이 아니다? 블루문의 진짜 의미 알아보기
블루문은 푸른 달이 아니다? 블루문의 진짜 의미 알아보기
블루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아마 푸른빛을 띠는 달을 연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블루문은 실제 푸른 달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블루문이 푸른 달이
talkan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