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제부터는 무한 상상의 영역, 웜홀 (wormhole)

by 말마니오 2023. 5. 18.
반응형

블랙홀까지의 별의 주기를 살폈다면, 일단 별이 태어나고 죽는 과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이해를 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블랙홀 이후, 자연스럽게 따라붙게 되는 화이트홀과 웜홀입니다. 이번에는 이 중 웜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공간 웜홀

웜홀은 이론적인 개념에 가깝습니다. 이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단축시켜 두개의 공간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설명되곤 합니다. 블랙홀 연구와 연결 지어져 발전한 개념입니다. 블랙홀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시공간의 뒤뜰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고 이 시공간의 뒤틀림이 결국 다른 공간으로의 연결까지 확장된 것이 바로 웜홀의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웜홈과 블랙홀의 이해는 보통 서로 영향을 주는 관계이고 보통은 동시에 연결된 개념처럼 학습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서 생길 수 있는 오해가 바로 블랙홀 안의 가장 깊은 곳에 다른 차원으로 가는 웜홀이 있다는 오해입니다.

 

웜홀그림

 

2. 웜홀과 블랙홀은 별개의 개념

하지만 아쉽게도 이들은 비슷한 이론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개념일 뿐 서로 독립적인 개념입니다. 블랙홀의 내부에 만약 그 무엇인가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싱귤래리티라고 불리우는 특이점이지 웜홀이 아닙니다. 웜홈을 그저 중력의 영향에 의해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시공간의 통로라는 개념으로 별도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이 개념을 영화 속에서 적용한 것이 바로 그 유명한 인터스텔라로 인터스텔라의 웜홀은 순식간에 엄청난 거리의 우주공간으로 날아가 새로운 은하의 탐사를 가능하게 하는 통로로 표현됩니다.

 

3. 웜홀이 가지는 의미

아직까지 웜홀이 우주공간에 실제한다는 어떠한 증거나 자료는 명확하게 증명된 것이 없습니다. 단지 우주에 관련한 다양한 이론들이 발전하다 보니 이론상으로는 이것이 가능하다는 하나의 가설로써 제시되는 용어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의 역사에서 그 어떤 이론이든 가설과 추측의 단계를 거치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이론상 가능하다면 이내 실험을 하고, 그 실험을 근거로 더 명확한 정보를 얻고, 다시 추가된 정보로 실험과 관측들을 하며 현재의 발전된 이론들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는 다소 허상에 가까운 이론일지라도 가설로 시작해 그것을 증명해 내는 첫 단계를 밟은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이론상에 존재하는 웜홀을 우리가 관측해낸다면 혹은 구현해 낸다면, 그때부터는 또 다른 진보를 위한 가설과 실험들이 생겨나겠지만,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단계는 여기까지입니다.

반응형

댓글